가비아 사이트(https://www.gabia.com) 오른쪽 상단 [회원 가입] 버튼을 눌러주세요.
1. 개인인 경우
아이디 및 비밀번호, 성함, 이메일, 휴대전화 정보를 기재하신 후, 메일 또는 휴대전화로 본인 인증 확인을 완료해주시길 바랍니다.
회원 가입 약관에 동의 후 [가입하기] 버튼을 누르시면 회원가입이 완료되며, 가비아 서비스 이용이 가능합니다.
2. 기업인 경우
회원가입 페이지의 [기관] 탭을 선택 후, 아이디 및 비밀번호, 기업명, 사업자등록번호, 담당자 성함, 이메일, 휴대전화 정보를 기재하신 후,
메일 또는 휴대전화로 본인 인증 확인을 완료해주시길 바랍니다. 회원 가입 약관에 동의 후 [가입하기] 버튼을 누르시면 회원가입이 완료되며, 가비아 서비스 이용이 가능합니다.
* 사업자 번호는 수정이 불가하므로 입력 시에 정확한 정보 확인을 바랍니다.
1개의 계정당 무료의 경우 최대 10개까지 만들 수 있습니다.
유료로 전환되는 홈페이지는 개수에서 제외됩니다.
1. 페이지 좌측 상단 메뉴 설정 클릭.
2. 원하는 메뉴를 위 또는 아래로 드래그하여 순서를 변경합니다.
원페이지 내에서 블럭의 순서를 변경하실 경우에는
1. 블럭 우측 상단의 버튼을 클릭 하신 후 하단의
버튼을 클릭.
2. 원하는 블럭을 위 또는 아래로 드래그하여 순서를 변경합니다.
1. 페이지 좌측 상단의 메뉴 설정 클릭.
2. 숨기고자 하는 메뉴 우측의 눈 아이콘을 클릭하여 숨김모드를 적용합니다.
(해제하고 싶으실 경우에는 눈 아이콘을 다시한번 클릭하여 숨김모드를 해제합니다.)
1. 페이지 좌측 상단의 메뉴 설정 클릭.
2. 삭제하고자 하는 메뉴 우측의 삭제버튼을 클릭하여 삭제합니다.
사이트 설정에서 ‘우클릭/드래그 방지’ 옵션을 ‘On’으로
설정하면 내 사이트에서
우클릭 및 드래그 사용이 금지 되어 내 이미지 및 글을 보호할 수 있습니다.
* 우클릭 및 드래그 방지 옵션을 적용하여도 방문자가 스크린샷 기능 또는
사이트 소스코드 등을 통해
액세스가 가능 할 수 있어 100% 보호를 보장하지는 않습니다.
팝업 창은 이미지를 이용하여 최대 3개까지 사용할 수 있습니다.
1. 편집 모드로 접속
2. 좌측 상단의 ‘사이트 설정’ 메뉴 클릭
3. 팝업창 탭을 선택
4. 사용을 ‘ON’으로 적용
5. ‘팝업 추가’ 버튼을 클릭
6. 팝업으로 사용할 이미지를 적용
팝업창 유지시간은 항상 열림, 12시간, 6시간, 1시간, 30분, 10분 중 원하는 유지 시간을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습니다.
1. 편집 모드 좌측 상단 사이트 설정 메뉴 클릭
2. 팝업창 탭 클릭
3. 적용할 팝업창의 유지 시간 아이콘() 클릭
4. 원하는 시간을 적용.
아쉽게도 팝업 창은 위치를 변경할 수 없게 설정되어 있습니다.
회원 전용 페이지는 스탠더드 요금제부터 회원가입 기능 사용 시 아래의 방법으로 적용이 가능합니다.
1. 편집 모드로 접속합니다.
2. 회원 전용으로 적용할 메뉴에서 페이지 비공개 설정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3. 페이지 비공개 설정창에서 ‘회원(사이트 회원)’ 옵션을 선택합니다.
4. 해당 페이지에 접속 가능한 레벨을 설정합니다.
(예: 5 -> 레벨이 5이상인 회원만 접속 가능)
5.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적용합니다.
블럭은 사이트를 구성할 수 있는 기본 요소입니다. 블럭 추가/삭제/이동을 통하여 쉽게 웹사이트(홈페이지)를 만드실 수 있습니다.
1. 블럭 하단 영역의 버튼을 클릭.
2. 블럭의 형태를 선택.
3. 리스트에서 원하는 스타일을 선택.
4. 미리보기 창의 사용하기 버튼을 클릭하여 해당 블럭을 추가합니다.
1. 블럭 우측 상단의 버튼 클릭.
2. 설정창의 아이콘 을 클릭하면 현재 선택된 블럭이 삭제됩니다.
1. 블럭 우측 상단의 버튼 클릭.
2. 설정창 하단의 아이콘 을 클릭하면 현재 선택된 블럭이 동일하게 복제됩니다.
1.. 블럭 우측 상단의 버튼 클릭
2. 여백 탭을 클릭하여 상하의 여백을 변경합니다.
1. 블럭 우측 상단의 버튼 클릭 >
버튼 클릭.
2. 원하는 블럭을 위 또는 아래로 드래그하여 순서를 변경합니다.
‘좌우여백’은 컨텐츠를 좌우로 일정한 여백을 두어 랩으로 감싸듯 담는
‘Wrapping’이란 개념을 보다 이해하기 쉽게 설명한 대체 단어 입니다.
으로 설정할 경우 좌우에 일정한 여백을 두고 그 안쪽으로만 컨텐츠가 보여지게 되며,
로 설정할 경우 가로넓이 전체를 사용하여 컨텐츠가 자동 확장됩니다.
쇼케이스 블럭 중 배경이미지 유형은 이미지가 블럭 여백이 없도록 적용되기 때문에 모바일에서는 이미지 해상도에 따라 이미지의 상하좌우가 잘려 보일 수 있습니다.
블럭에 이름을 지정하여 해당 블럭으로 링크하는 기능입니다.
다른 블럭으로 링크를 거는 방법은 3가지가 있습니다.
1. 연결할 블럭의 우측 상단의 버튼 클릭.
2. 블럭 링크(앵커) 탭의 옵션을 으로 설정
3. 블럭의 위치를 기억하기 쉽게 이름을 변경 후 저장 버튼 클릭.
*블럭의 이름은 블록 링크(앵커) 설정 시에만 사용이 됩니다.
1. 연결할 블럭의 우측 상단의 버튼 클릭.
2. 블럭 링크(앵커) 탭의 옵션을 으로 설정
3. 블럭의 위치를 기억하기 쉽게 이름을 변경 후 저장 버튼 클릭.
*블럭의 이름은 블록 링크(앵커) 설정 시에만 사용이 됩니다.
1. 우측 상단의 블럭 설정 아이콘 클릭
2. COUNTDOWN 설정 탭 선택
3. 날짜 입력 칸 클릭
4. 목표 날짜를 선택하여 적용
1. 쇼케이스 블럭의 설정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2. 슬라이드 지연 시간 항목을 클릭합니다.
3. 지연 시간 입력창에 원하는 시간을 입력합니다.
* 단위는 밀리초(ms)이며, 0 ~ 10,000 밀리초(ms)까지 설정할 수 있습니다.
* 1,000밀리초(ms) = 1초(S), 10,000밀리초(ms) = 10초(s)
템플릿을 변경하는 경우 기존 제작 중인 모든 메뉴 및 페이지 정보가 삭제됩니다. 템플릿을 변경하고자 할 경우 신중히 결정해주세요.
사용해도 됩니다. 가비아-크리에이터링크에서 제공되는 샘플 이미지들은 저작권에 위배되지 않는 CC0(CC zero) 이미지 입니다.
제공하는 샘플 템플릿에는 전 세계에 양도되어진 저작물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1. 템플릿 목록 페이지에서 ‘빈 페이지에서 시작하기’ 템플릿을 클릭하세요.
2. 메뉴를 입력하고 원하는 블럭들을 추가하면서 자유롭게 사이트를 만드실 수 있습니다.
* 작업중인 템플릿에서 다른 템플릿을 사용할 경우 편집 끝내기 버튼 클릭> 템플릿 목록 페이지로 이동> 템플릿을 다시 선택하여 사이트를 만드실 수 있습니다.
웹사이트(홈페이지)를 생성 후 전체적인 템플릿 변경을 원할 경우에는, 대시보드 푸터에서 ‘템플릿’ 메뉴를
선택하면 원하는 템플릿으로 변경이 가능합니다. 템플릿 변경 시에는 홈페이지에서 편집했던
모든 이미지와 텍스트가 초기화되니 신중히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 템플릿에 사용된 블럭들은 모두 블럭 리스트에서 제공하고 있습니다. 초기화를 원치 않으실 경우
리스트에서 원하는 블럭을 추가하여 사용하실 수도 있습니다.
1. 변경하려는 이미지 위에 마우스 오버하면 나타나는 아이콘을 클릭하거나
2. 이미지가 포함된 블럭 우측 상단의 아이콘을 클릭하면 설정창에서 추가/변경이 가능합니다.
여러장의 이미지를 한번에 업로드 하실 경우에는 설정창 하단의 버튼을 클릭하세요.
설명을 추가하실 이미지의 아이콘을 클릭해서 변경하시거나,
블럭 우측상단의 아이콘 클릭 후 하단 게시물 리스트의
누른 후 상세 설명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블럭 우측상단의 아이콘 클릭 후
버튼을 클릭하시면 다수의 이미지를 한번에 업로드하실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한 계정당 제공되는 저장용량은 200mb이며, 이미지는 최대 10mb 이하의 .jpg, .png, .gif 파일
동영상은 직접 업로드 방식이 아닌 외부 링크(Youtube, Vimeo)를 통한 업로드만 지원하고 있습니다.
네. 보관함의 이미지를 삭제할 경우 게시글에 적용된 이미지도 함께 삭제됩니다.
이미지를 삭제하실 경우에는 신중히 결정해주세요. (이 부분은 추후 기능을 개선하여 적용할 예정입니다.)
방문자가 HTML 코드를 통해 임의로 이미지를 다운로드할 수 있지만, 원칙상 가비아-크리에이터링크에 사용자가 업로드한 이미지를 방문자가 무단으로 사용, 배포, 변형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습니다.
본인의 작품에 저작권 표시가 필요하실 경우, 이미지 편집 프로그램 등을 사용하여 워터마크를 삽입해주세요.
가비아-크리에이터링크에는 자체적으로 이미지 압축기능을 지원하지 않고 있습니다.
이미지 용량 조절이 필요하실 경우, 포토샵 등과 같은 이미지 편집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용량을 조절하신 후 업로드하세요. (최대 10mb 이하 파일만 업로드 가능).
현재 사이트 내에서 이미지 크기를 직접 변경하는 기능은 제공하지 않고 있습니다.
이미지의 비율을 조절하실 경우, 블럭 우측 상단의 아이콘 클릭 후 해당 게시물의
아이콘을 클릭하시면 ORIGINAL, AUTO, 7:5, 6:9, 16:9, 1:1로 비율 변경이 가능합니다.
* 쇼케이스/콘텐츠 블럭의 이미지 및 배경 이미지는 특성상 사이즈 변경이 제공되고 있지 않습니다.
현재 로고를 만드는 기능은
제공하지 않고 있습니다. 필요하시다면 무료 로고 디자인 사이트를 방문하여 나만의 로고를 디자인해보세요! (단, 로고는 .png 또는 .jpg 파일로 업로드해주세요)
3가지 형식(GIF, PNG, JPEG) 모두 지원이 가능합니다. JPEG 파일은 이미지 품질 대비 용량이 작고 사이트 로딩 시간 개선에 도움이 되므로 이미지 업로드 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블럭의 종류에 따라서 설정할 수 있는 항목 및 아이콘이 다르게 보여집니다.
각 아이콘들의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업로드하려는 이미지가 다음 기준을 만족하는지 확인해 주세요.
그래도 이미지 업로드를 할 수 없다면 컴퓨터 또는 인터넷 연결의 특정 설정이 잘못되었을 수 있으므로 아래의 방법을 통해 해결하시기 바랍니다.
위의 방법으로도 해결이 어려울 경우에는 1:1 문의를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1. 링크를 걸고 싶은 이미지 위에 마우스 오버하면 나타나는 아이콘을 클릭.
2. URL을 직접 입력하거나 원하는 내부 페이지를 선택하여 링크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
1. 블럭 하단 영역의 버튼을 클릭.
2. 갤러리 아이콘을 클릭.
3. 리스트에서 원하는 갤러리 스타일을 선택.
4. 미리보기 창의 사용하기 버튼을 클릭하여 해당 갤리러블럭을 추가합니다.
1. 블럭 우측 상단의 아이콘 클릭.
2. 원하는 게시글을 선택, 위 또는 아래로 드래그하여 순서를 변경하거나 아이콘을 클릭하여 순서를 변경합니다.
1. 블럭 우측 상단의 아이콘 클릭.
2. 삭제를 원하는 게시글 우측의 휴지통 아이콘을 눌러 게시글을 삭제합니다.
1. 블럭 우측 상단의 아이콘 클릭.
2. 숨기고 싶은 게시글 우측의 아이콘을 눌러 숨김모드를 적용합니다.
단일 이미지형 : 단컷 형태의 이미지를 게시하기에 적합한 갤러리 타입입니다.
상세 페이지형 : 여러 컨텐츠를 올릴 수 있는 페이지 타입입니다.
상세페이지형 갤러리는 작품의 설명 혹은 작업기 등을 상세히 설명하는 용도로 설정된 페이지입니다.
상세 페이지형 갤러리에서는 타이틀 헤더, 텍스트, 구분선, 이미지, 동영상 콘텐츠를 삽입할 수 있습니다.
1. 갤러리 블럭 우측 상단의 버튼 클릭.
2. 카테고리 설정 탭에서 카테고리를 으로 설정.
3. 원하는 카테고리 항목 및 속성 수정
4. 갤러리 이미지에 마우스 오버시 나오는 아이콘 클릭.
*블럭 설정의 게시글 리스트에서 썸네일 클릭도 가능합니다.
5. 원하는 카테고리를 선택 후 '저장' 버튼을 클릭하세요.
1. 갤러리 블럭 우측 상단의 버튼 클릭.
2. 카테고리 설정의
항목 편집 아이콘 클릭
3. 카테고리의 항목 편집 창에서 버튼 클릭.
4. 원하는 카테고리 명을 입력 후 적용합니다.
갤러리 작품 복제 기능은 갤러리에 등록된 작품(이미지)을 동일하게 복제해주는 기능입니다.
갤러리 프로젝트 유형을 사용할 경우, 작품(이미지)에 속한 프로젝트 페이지도 동일하게 복제가 됩니다.
* 블럭에 적용된 블럭링크(앵커) 옵션은 해지가 되어 복제됩니다.
1. 갤러리 블럭 우측 상단의 아이콘 클릭
2. 이미지 리스트로 이동
3. 복제를 원하는 이미지의 아이콘 클릭
4. 복제 확인창에서 '확인' 버튼 클릭
5. 갤러리 리스트에서 복제된 작품(이미지) 확인
하단 목록 기능을 이용하여 다른 상세페이지로 바로 이동할 수 있어요.
1. 갤러리 블록 우측 상단의 블록 설정 아이콘 클릭
2. 이미지 리스트 상단에서 ‘하단 목록’ 옵션을 On으로 설정
3. 상세페이지로 이동
4. 상세페이지 하단에서 목록 확인.
상세페이지에서 제공하는 기본 이미지/텍스트/동영상 블럭 외에 쇼케이스, 타이틀, 컨텐츠, 텍스트 등의 일반 블럭을 추가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무료 사이트와 베이직 요금제 사이트의 상세페이지에서는 텍스트, 구분선, 이미지, 비디오 기본 유형의 블럭들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스탠더드 요금제가 적용된 사이트에서는 기본 유형의 블럭 외에 쇼케이스, 타이틀, 컨텐츠,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구분선, 소셜, 기타(카운트 다운) 블럭 등의 일반 블럭들을 추가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일반 블럭 추가하는 방법]
1. 상세페이지에서 블럭 추가 버튼을 클릭합니다.
2. 컨텐츠 선택 창에서 “일반블럭 사용”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3. 원하는 블럭을 선택 후 사용하기를 클릭합니다.
원하는 범위의 텍스트를 드래그하여 선택 후 상단에 표시된 텍스트 에디터의 아이콘들을 클릭하여 원하는 글꼴/색상/크기/정렬/링크 등을 변경합니다
.
글자 수는 65,000자로 제한되어 있습니다. 글자 수가 제한된 갤러리 또는 텍스트 블럭이 있으니 이용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현재 총 9개 국가의 서체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지원
언어 : 영어, 한국어, 일본어, 태국어, 아랍어, 키릴문자, 히브리어, 중국어, 베트남어
1. 좌측 상단의 ‘사이트 설정’ 메뉴 클릭
2. ‘기본 폰트’ 탭 선택
3. 폰트 옵션 클릭
4.
언어 선택창에서 원하는 언어를 선택
5.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적용
6.
서체 리스트 영역에서 상단에 추가한 언어 서체 확인
일부 다국어 서체의 경우 데이터량이 많아 페이지를 불러오기 시 속도가 느려질 수 있습니다.
다국어 서체 추가 시에는 필요한 다국어 서체만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배경에 적합한 이미지 크기
및 해상도는 72 dpi 해상도의 1920x1100 픽셀입니다.
사이트 배경 설정
페이지 좌측 상단 사이트 설정 클릭 후 배경 탭을 클릭하여 원하는 색상 또는 이미지로 변경하세요.
블럭 배경 설정
블럭 우측 상단의 버튼 클릭 후 배경 탭을 클릭하여 원하는 색상 또는 이미지로 변경하세요.
1. 페이지 좌측 상단 메뉴 설정 클릭 후 하단의 버튼 클릭
2. 메뉴명을 입력 후 체크 버튼을 클릭합니다.
인트로는 홈페이지의 첫 화면을 말합니다. 인트로 기능 사용을 원할 경우 ON으로 설정하고 사용을 원하지 않을 경우 OFF로 설정하세요.
1. 페이지 좌측 상단 메뉴 설정 클릭 후 변경하려는 메뉴의 연필 아이콘 클릭.
2. 메뉴명을 입력 후 체크 버튼을 클릭하시면 메뉴명 변경이 적용됩니다.
1. 페이지 좌측 상단 메뉴 설정 클릭 후 순서를 변경하려는 메뉴를 클릭.
2. 위 혹은 아래로 드래그하여 순서를 변경합니다.
1. 페이지 좌측 상단 메뉴 설정 클릭 후 하위메뉴로 설정할 메뉴를 클릭.
2. 원하는 상단메뉴 하단으로 위치 후 좌우로 드래그하여 하위 메뉴를 생성합니다.
1. 메뉴 블럭 우측 상단의 버튼 클릭.
2. 메뉴 디자인 변경 탭의 아이콘을 클릭.
3. 리스트에서 원하는 스타일의 메뉴를 선택 후 사용하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페이지 좌측 상단 메뉴 설정에 있는 눈 아이콘이 OFF로 설정되어 있지 않은지 확인하세요.
눈 아이콘이 켜져 있으면 해당 메뉴가 사이트에 보입니다.
1. 링크주소를 설정할 버튼의 텍스트 영역을 드래그 또는 더블클릭.
2. 상단 텍스트 에디터의 링크 아이콘을 클릭
3. 원하는 주소를 입력하세요.
버튼 안의 텍스트를 클릭하면 텍스트 박스가 활성화되며 수정이 가능합니다.
1. 링크주소를 설정할 버튼의 텍스트 영역을 드래그 또는 더블클릭
2. 상단 텍스트 에디터의 링크 아이콘을 클릭
3. 링크 설정창의 URL 직접입력 부분에 원하는 주소를 입력하거나 원하는 메뉴명 혹은 블럭이름 클릭
4. 우측 하단의 새창으로 열기 체크박스를 체크하시면 새 창으로 연결됩니다.
1. 페이지 좌측 상단 메뉴 설정을 클릭.
2. 링크를 적용하고 싶은 메뉴에서 아이콘을 클릭
3. 링크 설정 창에서 URL 직접입력을 선택 후 링크
주소를 입력합니다.
1. 페이지 좌측 상단 메뉴 설정 클릭.
2. 상위 메뉴의 아이콘을 클릭.
3. 링크 설정 창에서 하위링크를 선택하여 원하는 메뉴를 선택하세요.
* 하위 메뉴가 있을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1. 페이지 좌측 상단 메뉴 설정을 클릭.
2. 상위 메뉴의 아이콘을 클릭.
3. 링크 설정 창에서 페이지 없음(폴더용도로만 사용)을 선택하세요.
* 하위 메뉴가 있을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1. 페이지 좌측 상단 메뉴 설정을 클릭.
2. 링크를 해제하고 싶은 메뉴에서 아이콘을
클릭.
3. 링크 설정 창에서 '기본링크'를 선택하면 링크가 해제 됩니다.
모바일 메뉴가 권장하는 디자인 양식으로 보여집니다.
메뉴 컬러 상세 설정에서 메인 메뉴와 서브메뉴의 폰트 및 배경의 기본, 마우스오버, 클릭 등의 색상을 원하는 색상으로 설정할 수 있어요.
[메뉴 컬러 상세 설정 방법]
1. 메뉴의 블록 설정 아이콘을 ()클릭
2. ‘배경’ 또는 ‘메뉴 폰트’ 탭을 클릭
3. 컬러 상세 설정 아이콘() 을 클릭
4. 메뉴의 각 컬러 상세 설정을 원하는 색상으로 적용
5.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적용
컬러 상세 설정 기능이 적용되기 이 전의 메뉴에서는 해당 기능이 제공되지 않아요.
메뉴의 블록 설정에서 ‘메뉴 디자인 변경’ 기능을 이용하여 새로 메뉴를 적용해주시면 컬러 상세 설정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모바일 전용 버튼은 스탠더드 요금제부터 적용 가능한 기능으로, 모바일 화면 하단에 최대 3개의 버튼을 생성하여 전화, 1:1문의, 약도 연결 등 보다 직관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모바일 전용 버튼 설정하기]
1. 편집 모드에서 ‘사이트 설정’ 버튼 클릭합니다.
2. 모바일 전용 버튼의 설정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모바일 전용 버튼 설정창]
1. 항목 – 항목 이름을 입력합니다.
2. 순서 변경 –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으로 메뉴의 순서를 변경합니다.
3. 보기 – 해당 버튼을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도록 설정합니다.
4. 번호 입력 – 버튼 클릭 시 연결할 전화번호를 입력합니다.
5. 링크 – URL 직접입력 / 메뉴 링크 / 블럭으로 링크(앵커)를 설정합니다.
6. 아이콘 – 버튼에 사용할 아이콘을 설정합니다.
7. 배경색 – 버튼의 배경색을 지정합니다. 기본 제공 색상 외에 원하는 색상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8.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동의 – 전화연결 기능의 제공 목적으로 전화번호를 수집 및 이용함에 있어 약관에 동의하셔야 서비스 이용이 가능합니다.
9. 적용 버튼 – 편집 및 수정한 내용들을 적용합니다.(사이트 게시를 하셔야 실제 사이트에도 적용됩니다.)
10. 미리보기 – 좌측 편집툴에서 편집한 내용들이 적용된 모바일 화면을 미리 보실 수 있습니다.
1. 블럭 우측 상단의 아이콘
클릭.
게시판에 등록된 글을 삭제하면 DB에서 영구 삭제되어
복구가 불가합니다.
그러므로 게시글 또는 게시판 블럭 삭제 시에는 신중하게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1. 블럭 우측 상단의 아이콘
클릭.
FAQ 게시판은 편집모드에서
사이트 관리자만 글 등록이 가능하며 실 사이트에서는
사이트 관리자와 방문자 모두 등록된 글 보기만 가능합니다.
누가 비밀글을 썼느냐에 따라서 볼 수 있는 권한이 달라집니다.
비회원이 등록한 글에 비밀 답글이 달린 경우, 글
수정 또는 비밀 게시글 확인 시 나타나는
비밀번호 확인 창으로 작성자 인증 후 비밀 답글 확인이 가능합니다.
비회원 게시글이 일반 글인 경우:
1. 비회원의 게시글 상세 페이지로 이동한다.
2. 우측 상단의 아이콘을 클릭하여
'modify'를 선택
3. 비밀번호 확인창이 나오면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확인
4. 편집 창을 닫고 게시판 목록 페이지로 이동
5. 비밀 답글을 확인
비회원 게시글이 비밀 글인 경우:
1. 비회원의 게시글을 클릭
2. 비밀번호 확인창이 나오면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확인
3. 게시판 목록 페이지로 이동
4. 비밀 답글을 확인
자신의 목적에 맞는 사용자 그룹을 만들어 게시판마다 손쉽게 특정 사용자들만 게시판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습니다.
* 그룹은 회원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회원 기능은 스탠더드 요금제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1. 게시판 블럭에서 우측상단의 아이콘 클릭
2. 권한설정탭 클릭.
3. 그룹 리스트 우측의 아이콘 클릭.
4. 그룹관리창에서 그룹생성, 이름변경, 삭제, 사용자 추가 등이 가능합니다.
1. 게시판 블럭에서 우측상단의 아이콘 클릭.
2. 권한설정탭 클릭.
3. 그룹 리스트 우측의 아이콘 클릭.
4. 그룹관리창에서 아이콘 클릭.
5. 추가를 원하는 멤버의 회원 메일주소를 입력합니다.
예) help@gabia.com (O) / help (X) / 가비아 (X)
하단 목록 기능을 이용하여 다른 게시글로 바로 이동할 수 있어요.
1. 게시판 우측 상단의 블록 설정 아이콘 클릭
2. 댓글/비밀글/목록 설정 탭 클릭
3. ‘하단 목록’ 옵션을 ‘On’으로 설정
4. 게시판의 게시글로 이동
5. 게시글 하단에 목록을 확인
1. 갤러리 블록
우측 상단의 블록 설정() 버튼
클릭
2. 언어/항목/컬러 설정 항목 선택
3. 원하는 항목을
체크 또는 해제하여 적용
* FAQ 게시판은 언어
및 항목 설정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1. 게시판 블록
우측 상단의 블록 설정() 버튼 클릭
2. 언어/항목/컬러 설정 항목 선택
3. ‘카테고리’ 옵션 체크
4. 카테고리 설정
창에서 ‘추가’ 버튼을 클릭
5. 원하는 카테고리를
입력 후 적용
6. ‘닫기’ 버튼 클릭
* 카테고리가 설정이 되면, 글쓰기 및 글 수정 시 카테고리 항목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게시판의
기본 컬러셋을 검정 또는 화이트 색상으로 적용할 수 있습니다.
1. 게시판 블록
우측 상단의 블록 설정(아이콘) 버튼 클릭
2. 언어/항목/컬러 설정 항목 선택
3. 컬러셋에서 원하는
컬러 세트 선택 적용
게시판의 ‘언어/항목/컬러’ 설정은 최신 버전 게시판에서 지원이 됩니다.
‘언어/항목/컬러’ 설정 옵션이
보이지 않다면 이 전 버전의 게시판을 사용하고 있어서 인데요.
게시판의 블록 설정 창에서 ‘게시판 디자인 변경’ 을 클릭하여 동일한 게시판으로 적용하면 최신 버전의
게시판으로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방문자나 회원이 양식에 맞게 게시글을 작성하도록 글 양식 기능을 이용하여 유도할 수 있습니다.
* FAQ 게시판 유형은 해당되지 않습니다.
1. 게시판 블럭의 설정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2. 글 양식 설정의 연필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3. 글 양식을 작성한 후 [확인]을 클릭합니다.
[글 양식 적용 예시]
지도 블럭은 구글 지도의 주소(URL)를 이용하여 표시가 가능합니다.
1. 구글 지도로 이동
maps.google.co.kr
2. 구글 지도에서 표시하고 싶은 위치를 검색
3. 해당 URL을 복사
* 공유의 약식 URL은 지원하지 않습니다.
4. 지도 블럭의 주소 창에 붙여 넣기
5. 저장 버튼 클릭
구글 지도에서 원하는 위치를 검색 후, 해당 URL을 복사하여 지도 블럭에 적용하면 정상적으로 보여집니다.
하지만 검색 후 다음과 같이 이용 시, URL 정보가 변경되어 지도 블럭에서 지도가 정상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마우스 휠을 이용한 줌 인/아웃 : 위치가 다르게 표시됨
- 위치를 검색 후 드래그하여 위치 이동 : 다른 곳으로 위치가 표시됨
- 휠 줌 인/아웃 & 드래그하여 위치 이동 : 지도가 보이지 않음
- 약식 URL 적용 : 지도에 반영되지 않음
1. 콘택트 블럭의 설정 아이콘을 클릭해 설정 창을 엽니다.
2. [받는 메일]의 오른쪽의 +버튼을 클릭합니다.
[콘택트 블럭 설정창]
1. 입력창 – 내용을 받을 이메일 주소를 입력합니다.
2. 추가 – 입력창에 적힌 이메일 주소를 추가합니다.
* 요금제가 적용된 상태에서만 이메일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3. 리스트 – 추가한 이메일들을 리스트로 볼 수 있습니다.
4. 수정 – 리스트에 추가한 이메일 주소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5. 삭제 – 리스트에 추가한 이메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6. 닫기 – 이메일 편집 창을 닫습니다.
메타태그란 HTML의 맨 위쪽에 위치하는 태그로 헤더안에 위치하며 웹 페이지상에서는
보여지지 않지만 브라우저와 검색 엔진을 사용할 수 있도록 웹 문서의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기본 적인 메타 태그의 구조와 이를 이용한 예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meta name="속성" content="내용"></p>
-> <meta name="author" content="Creatorlink"></p>
각 특성에 맞는 여러 속성들이 존재하고 해당 특성에 맞는 사이트 내용을 입력하여 주시면 됩니다.
. 사이트 편집 모드로 이동합니다.
2. 페이지 좌측 상단 사이트 설정 클릭 후 메타태그 수정 아이콘( )을 클릭
3. 메타태그 에디트 창에서 원하는 메타태그 속성을 수정하거나 추가합니다.
기본적으로 제공되고 있는 메타태그의 종류는 Author(제작자), Title(홈페이지 이름),
Description(홈페이지 설명), Keyword(검색 키워드)이며 '항목 추가' 버튼을 클릭하여
이외의 다른 속성의 메타태그를 추가하실 수 있습니다.
다음은 추가로 사용 가능한 메타태그의 종류 일부입니다.
subject : 홈페이지 주제 입력
publisher : 만든 단체 또는 회사
owner : 홈페이지 책임자
date : 제작일
distribution : 배포자
copyright : 저작권
네이버 웹 마스터도구, 구글 Search
Console 등과 같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사이트 소유 확인이
필요합니다. 각 서비스마다 여러 가지 소유 확인 방법이 존재하며 그 중 HTML태그(메타태그)를 이용하여
소유 확인이 가능합니다.
http://webmastertool.naver.com/
<구글 Search Console>크리에이터링크 사이트 맵 주소는 아래와 같습니다.
http://사용자 도메인/user-sitemap
예) http://jdportfolio.com/user-sitemap
웹마스터 도구 등에서 사이트맵 등록 시 "user-sitemap"를 주소에 추가하여 적용해주시면 사이트맵이 제출됩니다.
1. 블럭 우측 상단의 블럭 설정 ()아이콘 클릭
2. 폼 설정의 설정 아이콘 클릭
3. 폼 설정 창에서 원하는 항목을 설정합니다.
a. 폼 이름: 현재 만들고 있는 폼의 이름을 설정합니다.
b. 제목: 항목의 제목을 입력합니다.
c. 항목 유형: 7가지 항목 유형 중 1가지를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습니다.
(단문형, 장문형, 단일 선택형, 다중 선택형, 목록 선택형, 날짜형, 날짜시간형)
d. 항목 설명: 항목에 대한 보충 설명을 입력합니다.
e. 항목 설명 On/Off: 항목 설명 사용 여부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f. 세부항목 리스트: 단일선택형/다중선택형/목록선택형 선택시 사용할 수 있는 세부항목 리스트
g. 세부항목 추가: 단일선택형/다중선택형/목록선택형 선택시 사용할 수 있는 세부항목을 추가합니다.
h. 필수: 해당 항목을 필수 사항으로 설정합니다.
i. 삭제: 해당 항목을 삭제합니다.
* 항목을 삭제하면 수집된 데이터도 같이 삭제 되니, 응답 확인 페이지에서 엑셀로 저장하여 백업하시기 바랍니다.
j. 항목추가: 새로운 항목을 추가합니다.
k. 제목 폰트 설정: 제목 폰트에 적용될 글꼴/서체색상/서체크기를 설정합니다.
l. 설명 폰트 설정: 설명 폰트에 적용될 글꼴/서체색상/서체크기를 설정합니다.
m. 입력완료 메시지: 설문 응답 시 나타나는 메시지를 설정합니다.
n. 받는 메일: 설문 응답 시 알림을 받을 메일주소를 설정합니다.
o. 개인정보취급방침: 개인정보취급방침 내용을 입력할 수 있습니다.
p. 개인정보취급방침 On/Off: 개인정보취급방침 사용 여부를 설정합니다.
q. 완료 버튼: 완료 버튼을 클릭하여 양식을 적용합니다.
대시보드의 사이트 상세정보 > 폼 블럭 또는 폼 블럭 설정 에서 응답보기 버튼을 클릭하면 받은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페이지로 이동하여 확인이 가능합니다.
폼 상세내용 확인 페이지의 우측 상단에 있는 Excel () 버튼을 클릭하면 수집된 데이터들을 엑셀 파일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폼 또는 응답 데이터 삭제는 각 항목 우측 끝에 있는 삭제 ()아이콘으로 삭제가 가능합니다.
- 현재 폼이 게시된 사이트나 편집 모드에 적용이 안되어 있을 경우에만 삭제가 가능합니다.
- 삭제된 데이터는 복구가 안되니, 미리 excel 파일로 백업 후 삭제하시기를 바랍니다.
1. 폼 블럭의 설정 아이콘을 클릭해 설정 창을 엽니다.
2. [항목 편집]의 설정 아이콘을 클릭해 항목 편집 창을 엽니다.
3. 받는 메일 오른쪽의 +버튼을 클릭합니다.
[이메일 설정 창]
1. 입력창 – 내용을 받을 이메일 주소를 입력합니다.
2. 추가 – 입력창에 적힌 이메일 주소를 추가합니다.
* 요금제가 적용된 상태에서만 이메일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3. 리스트 – 추가한 이메일들을 리스트로 볼 수 있습니다.
4. 수정 – 리스트에 추가한 이메일 주소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5. 삭제 – 리스트에 추가한 이메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6. 닫기 – 이메일 편집 창을 닫습니다.
자신만의 도메인(예: www.sitename.com)을 가지고 있다면, 해당 도메인을 가비아-크리에이터링크 사이트(사용자고유식별숫자.creatorlink-gabia.com)와 연결을 시켜주는 서비스를 말합니다.
자신의 도메인으로 접속을 하여도 가비아-크리에이터링크 사이트로 이동되고 주소도 자신의 도메인으로 보이게 됩니다.
* 도메인 연결 서비스는 유료 요금제에서 제공됩니다.
1. 연결을 원하는 사이트에 유료 요금제를 적용
2. 대시보드에서 사이트 상세정보를 클릭하여 확장
3. 요금제 및 도메인에서 외부 도메인의 ‘설정’을 클릭
4. 연결을 원하는 도메인을 입력 후 ‘연결하기’ 버튼 클릭
5. 하단에 네임서버 4개를 확인
6. 도메인 제공 사이트로 이동
7. 4개의 네임 서버를 도메인에 등록하여 연결
* 네임서버가 정상적으로 연결이 되었다면 최대 48시간 내에 연결됩니다.
사이트별 프로필과 관리자명은 기본적으로 계정 닉네임으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요금제가 적용된 사이트의 경우, 크리에이터링크 메인 페이지에서 프로필과 닉네임을 사이트 별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1. 솔루션 관리> 대시보드의 좌측 상단의 관리자명을 클릭합니다.
2. 육각형 아이콘을 클릭하여, 프로필 이미지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3. 입력창에 원하는 관리자명을 입력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텍스트 링크 또는 이미지 링크를 이용하면 PDF, DOC, XLS, HWP, PPT 등을 다운로드
할 수 있게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다운로드로 제공할 파일을 별도의 클라우드 또는 호스팅에 업로드 합니다.
2. 파일 공유 url을 확인 및 복사합니다.
3. 크리에이터링크 사이트 편집 모드로 이동합니다.
4. 텍스트를 범위 지정하여 링크 아이콘을 클릭 또는 이미지의 링크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5. URL에 복사한 링크를 붙여 넣어 적용합니다.
6. 텍스트 또는 이미지를 클릭하여 링크가 정상 동작하는지 확인합니다.
로딩 속도 개선방법 1
홈페이지에서 사용한 이미지들의 용량이 클 경우 사이트 로딩 속도가 느려지니 이미지의 용량을
웹용으로 줄여서 올려주세요. 기본적으로 웹용 이미지는 최대 가로기준 1920픽셀 미만,
300~400K정도의 용량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포토샵 등과 같은 이미지 편집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용량을 조절하신 후 업로드 하세요.
<포토샵으로 이미지 용량 줄이는 방법>
1. 포토샵을 실행합니다.
2. 사진을 불러옵니다.
3. File > Save for Web & Devices를 선택합니다. (단축키 Ctrl + Alt + Shift + S )
4. 우측 상단에서 Quality를 90~60으로 조절 후 저장합니다.
위의 방법을 사용하시면 크게 화질저하 없이 줄어든 용량을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포토샵 사용이 어려우신 분은 해당 프로그램을 추천합니다.
포토웍스, 알씨 , PIXLR
로딩 속도 개선방법 2
이미지를 많이 사용하실 경우, 원페이지 구조보다는 멀티페이지 구조를 권장합니다.
원페이지 사이트는 사이트 전체가 한 페이지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미지와 컨텐츠가
많을 경우 일반 페이지에 비해 초기 로딩시간이 더 걸립니다. 사이트설정에서 원페이지
스타일을 off로 설정하신 후 사용하세요.
웹 로그 전문 분석 툴인 구글 애널리틱스와 연결하여 로그를 분석할 수 있습니다.
구글 애널리틱스에서 제공되는Trackid를 등록하여 내 사이트에 접속한 방문자를
전문적으로 분석해보세요.
1. 구글 애널리틱스에 가입합니다.
2. 가입 후 발급되는 추적ID를 확인합니다.
3. 가비아-크리에이터링크 사이트에 로그인합니다.
4. ‘사이트 상세정보’를 클릭하여 확장합니다.
5. Google analytics의 ‘등록’ 버튼을 클릭합니다.
6. 발급받은 ‘추적 ID’를 삽입 후 등록합니다.
페이스북 픽셀(Facebook Pixel)은 페이스북 광고 캠페인을
측정 및 최적화하고 타겟을 구축할 수 있게 해주는 툴입니다.
1. 페이스북(facebook.com)에 로그인 합니다.
2. 광고 관리자의 Facebook 픽셀(링크: https://www.facebook.com/ads/manager/pixel/facebook_pixel/) 메뉴로 이동합니다.
* 광고 관리자의 메뉴 선택에서 ‘자산’ > ‘픽셀’ 메뉴를 클릭하여 이동할 수도 있습니다.
3. ‘픽셀 만들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4. 픽셀 만들기 창에서 ‘픽셀 이름’을 입력하고 ‘다음’ 버튼을 클릭합니다.
5. ‘코드 복사하여 붙여넣기’ 옵션을 선택합니다.
|6. 픽셀 설치 창에서 하단의 ‘이메일 이용 안내’ 버튼을 클릭합니다.
7. 페이스북 픽셀 ID를 확인하여 복사합니다.
8. 픽셀 설치 창을 종료합니다.
9. 마이가비아 접속합니다.
10. 관리툴> 솔루션 관리툴(대시보드)에서 ‘사이트 관리’를 클릭합니다.
11. Facebook pixel의 ‘등록’ 버튼을 클릭합니다.
12. 위에서 복사한 픽셀 ID를 붙여넣고 '등록'버튼을 클릭하여 적용합니다.
13. 페이스북 픽셀에서 데이터를 확인합니다.
* 픽셀의 수집된 데이터는 페이스북 픽셀ID 적용 후 하루가 지나야 확인이 가능합니다.
사이트 주소 공유 시 표시되는 미리보기 이미지는 사이트 게시 시 캡쳐되는 사이트 이미지가 기본으로 적용이 되요.
해당 이미지를 원하는 이미지로 변경하여 적용할 수도 있어요.
[미리보기 이미지 변경하는 방법]
1. 마이가비아> 관리툴> 솔루션 관리툴 클릭 후 대시보드로 이동
2. 좌상단 사이트 미리보기 화면으로 마우스를 이동
3. 스크린샷 옵션을 클릭
4. ‘직접 업로드’ 옵션을 선택
5. ‘파일 선택’ 버튼을 클릭
6. 원하는 이미지를 선택하여 적용
* 카카오톡, 라인 등에서 이미 주소를 공유하여 미리보기 이미지가 보여졌던 적이 있으면, 수정한 이미지가 반영이 되기까지는 시간이 걸리는 점 참고해주세요.
관리자 간편
로그인이란 사이트에서 관리자 권한으로 로그인 할 수 있는 ID/PW를 설정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해당 ID/PW는 게시판 관리와 회원관리 기능을 위해 제공하는 기능이므로
해당 정보들은 사이트에서만 이용 가능합니다.
[관리자
로그인 정보 설정]
1. 솔루션 관리툴에서 “사이트
관리”를 클릭합니다.
2. “관리자 간편 로그인”의
설정을 클릭합니다.
3. 로그인 정보
설정
- 아이디 : 기본 아이디는 admin이며, 관리자 아이디는 변경되지 않습니다.
- 비밀번호 : 영문, 숫자, 특수기호를 조합하여 6~20자내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 보기 아이콘을
클릭하여 입력한 비밀번호를 직접 보면서 입력된 내용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이용
예시 – 게시판]
1. 제작한 사이트에 접속합니다.
2. 게시판 블럭에서 “글쓰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3. 로그인 창에서
“관리자 로그인”을 클릭합니다.
4. 관리자 간편 아이디 정보로 로그인 합니다.
5. 편집모드를 거치지 않고 사이트에서 바로 관리자 권한으로 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이용 예시 – 회원관리(스탠더드)]
스탠더드 요금제를 이용하여 회원관리 기능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관리자 간편 로그인으로 로그인할 수 있습니다.
1. 제작한 사이트에
접속합니다.
2. [로그인] 버튼을 눌러 관리자로 로그인 합니다.
3. 대시보드, 회원가입설정
등의 회원관리 기능을 이용하실 수 있고, MY 가비아로 이동이 가능합니다.
관리자 간편 로그인 비밀번호 변경은 관리자 간편 로그인 설정창에서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솔루션 관리툴에서 “사이트
관리”를 클릭합니다.
2. “관리자 간편 로그인”의
설정을 클릭합니다.
3. 설정창에서 변경을
원하는 비밀번호를 입력합니다.
4. ‘설정하기’ 버튼을
클릭하여 변경사항을 적용합니다.
사용자가 보다 원활한 사이트 운영과 브랜딩 구축을 위한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하는 유료 서비스입니다. 유료 요금제에는 더 많은 저장 공간과 트래픽, 도메인 연결, 파비콘 제공, 회원 전용 기능 등을 제공합니다.
네, 1년(12개월) 결제 선택 시 20%의 할인된 가격으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1. 마이가비아> 관리툴에서 ‘유료전환’ 버튼 클릭
2. 원하는 요금제에서 ‘신청하기’ 버튼 클릭
3. 유료 요금제 사용 기간을 선택
4. 구매 정보 확인 후 결제 방법 선택
5. 결제하기 버튼 클릭
6. 결제 후 요금제 적용 확인
* 유료 요금제는 하나의 웹사이트(홈페이지)에만 적용 가능합니다. 여러 사이트를 업그레이드하고 싶다면 웹사이트(홈페이지)별로 요금제를 구매하여 적용해야 합니다.
결제는 신용카드, 실시간 계좌이체, 가상계좌 등을 사용한 결제를 승인합니다.
사이트에 스탠더드 요금제가 적용 되었다면, 두 가지 방법으로 회원 가입/관리 설정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1. 마이가비아> 관리툴> 솔루션관리를 클릭 후 대시보드의 [사이트 관리] - [회원 가입] - [설정]을 클릭하여 접속이 가능합니다.
2. 편집모드의 [사이트 설정] – [로그인/회원가입 기능]의 설정 아이콘을 클릭하면 접속이 가능합니다.
승인 방식은 회원 가입/관리 설정 페이지에서 설정할 수 있습니다.
회원 가입 승인 방식은 자동 승인과 수동 승인으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자동 승인 : 회원 가입을 하면 자동으로 가입이 승인됩니다.
수동 승인 : 회원 가입 후 관리자가 가입 대기 회원 메뉴에서 승인을 해주어야 승인됩니다.
CAPTCHA는 Completely Automated Public Turing test to tell Computers and Humans Apart의 약자로 완전 자동화된 사람과컴퓨터를 판별해주는 보안 프로그램입니다. CAPTCHA는 기계는 인식할 수 없으나 사람은 쉽게 인식할 수 있는 텍스트, 이미지를 통해 사람과 기계를 구별합니다. 보안을 위해 CAPTCHA를 이용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CAPTCHA는 회원가입> 관리 설정 페이지에서 가입 설정 메뉴의 기본 설정에서 설정할 수 있어요.
기본적으로 사이트 자체 회원 가입 시에 ID, 비밀번호, 이메일을 필수로 수집하게 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서비스 특성상 추가적인 정보 수집이 필요하다면 회원 가입/관리 페이지에서 가입 수집 항목을 추가 및 설정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회원 가입 수집 항목은 서비스에 필요한 최소한의 항목만 수집해야 하며, 이를 이용 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에 표기하여야 합니다.
[기본 제공 항목]
필수 항목 외에 기본으로 제공되는 항목은 이름, 닉네임, 전화번호, 주소, 생년월일입니다.
[항목 추가]
기본 항목 외에 추가하고 싶은 항목이 있다면, [항목 추가]를 클릭하여 원하는 항목을 최대 10개까지 추가할 수 있습니다.
[항목 사용하기]
회원 가입 시 원하는 항목을 추가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에 체크하면 가입 항목에 추가되며, ‘필수’도 같이 체크하면 필수 항목으로 적용됩니다.
[회원 가입 페이지 미리보기]
설정한 회원 가입 항목을 미리보기를 원할 경우 회원 가입/관리 페이지 하단의 “회원가입창 미리보기” 버튼을 클릭하면 가입 화면을 미리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서비스를 제공하는 홈페이지라면 “이용약관”이 필수적으로 들어가야 합니다. 분쟁이 생겼을 때, 이용약관이 판결의 기준이 되기 때문에 중요한 항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처리방침은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사이트라면, 정보통신망법 제22조 제1항에 근거하여 이에 대한 정보를 안내 및 동의를 구해야 하는 필수사항입니다.
회원 가입 기능을 사용하면, 이용약관과 개인정보처리방침 샘플이 기본으로 제공됩니다.
회원 가입/관리 페이지의 가입 설정 메뉴에서 샘플 내용을 서비스에 맞게 수정해주세요.
회원가입 기능을 이용하게 되면 이용약관과 개인정보처리방침이 필수인데요.
회원 가입 기능 이용 시 자동으로 이용약관과 개인정보처리방침 페이지가 생성됩니다.
회원 가입/관리 페이지에서 이용약관과 개인정보처리방침이 서비스에 맞게 수정하였다면,
아래의 방법으로 사이트에 적용해주시면 됩니다.
3. 텍스트 영역에 “이용약관”과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텍스트로 입력합니다.
4. “이용약관” 텍스트를 범위 지정합니다.
5. 텍스트 에디터에서 링크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6. URL 직접입력에 아래의 주소를 입력합니다.
/siteinfo/terms
7.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적용합니다.
8. “개인정보처리방침” 텍스트를 범위 지정합니다.
9. 텍스트 에디터에서 링크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10. URL 직접입력에 아래의 주소를 입력합니다.
/siteinfo/privacy
11.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적용합니다.
회원 가입/관리 설정 페이지의 회원 리스트 메뉴에서 회원을 차단할 수 있습니다.
1. 회원 가입/관리 설정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2. 회원 리스트 메뉴를 선택합니다.
3. 차단하고 싶은 회원을 선택합니다.
4. “차단” 버튼을 클릭합니다.
5. “확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차단된 회원은 가입/관리 설정 페이지의 차단 리스트 메뉴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차단된 회원은 가입/관리 설정 페이지의 차단 리스트 메뉴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차단 해제는 가입/관리 설정 페이지의 차단 리스트에서 ‘해제’ 버튼을 클릭해주시면 됩니다.
사이트에 가입한 회원이 탈퇴를 원하는 경우에는 아래의 방법으로 탈퇴할 수 있습니다.
1. 사이트에 로그인 합니다.
2. 메뉴에서 “내 정보” 메뉴를 선택합니다.
3. 좌측 하단에 있는 “회원탈퇴”를 클릭합니다.
4. 안내 사항을 확인 후, 동의에 체크합니다.
* 회원 탈퇴 시에는 동일한 아이디 및 이메일로 재가입이 불가하니 이 점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5. 확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6. 비밀번호 확인창에서 비밀번호를 입력합니다.
7. ‘탈퇴하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회원 가입/관리 페이지의 회원 리스트 메뉴에서 아래의 방법으로 탈퇴시킬 수 있습니다.
1. 회원 가입/관리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2. 회원 리스트 메뉴를 클릭합니다.
3. 회원 리스트에서 탈퇴 시킬 회원을 선택합니다.
4. 리스트 하단의 “탈퇴” 버튼을 클릭합니다.
탈퇴한 사이트 회원의 아이디 및 이메일은 재사용이 불가합니다.
탈퇴한 아이디 및 이메일 재 사용을 원하시는 경우에는 별도로 1:1 문의 게시판에 요청을 주시기 바랍니다.
회원 가입/관리 페이지의 회원 리스트 메뉴에서 “엑셀 다운로드” 버튼을 클릭하면 가입한 회원 리스트를 다운 받을 수 있습니다.
회원 가입/관리 페이지의 회원 리스트 메뉴에서 각 회원 별로 레벨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레벨은 1~10 사이에서 설정이 가능하며 처음 회원 승인이 되면 레벨 1로 설정됩니다.
설정된 레벨은 회원 전용 페이지 기능 사용 시 이용됩니다.
다국어 기능이란 동일한 주소로 여러 언어의 사이트를 지원하는 기능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동일한 서비스에서 글로벌화를 위해 한국어와 영어 사이트가 필요하다면, 다국어 기능을 이용하여 한국어 사이트와 영어 사이트를 설정합니다.
그러면 같은 사이트 주소 내에서 각각 한국어 사이트와 영어 사이트가 존재하여 각 언어에 맞는 사이트를 개별적으로 편집하고 적용할 수 있습니다.
다국어 기능은 스탠더드 요금제를 적용 후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국어 설정 페이지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My 가비아> 관리툴> 솔루션관리툴 클릭 후 메인 페이지의 [상세 설정] – [다국어] – [설정]을 클릭하시면 됩니다.
다국어는 총 13개의 언어를 지원하며, 지원되는 언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한국어, English (영어), 日本語 (일본어), 中國語 (중국어), Español (스페인어), Français (프랑스어), Deutsch (독일어), Русский (러시아어), العربية (아랍어), Português (포루트칼어), हिन्दी (힌디어), Italiano (이탈리아어), Tiếng Việt (베트남어)
1. 갤러리 추가
갤러리를 추가하기 위해 블럭 추가 버튼을 클릭해 주세요.
갤러리/쇼핑 탭에서 원하는 갤러리를 선택해주세요.
사용하기 버튼을 클릭하여 갤러리 유형 선택창에서 쇼핑형을 클릭하면 쇼핑형 갤러리가 추가됩니다.
2. 상품등록
갤러리 블럭의 블럭 설정 창에서 컨텐츠 관리 버튼을 클릭해 주세요.
컨텐츠 관리 페이지의 우측 상단에 있는 추가 버튼을 클릭해 주세요.
상품 이미지와 가격, 옵션 등 상품 정보를 입력한 뒤 저장 버튼을 클릭하면 상품 등록이 완료됩니다.
※ 기존 갤러리는 블럭 설정 창을 통해 쇼핑형 타입으로 변경하실 수 있습니다.
3. 상세정보 편집
상품의 상세정보를 편집하시려면 상품 이미지를 클릭해 주세요.
상세정보 영역을 클릭하시면 다양한 블럭을 추가하여 상세정보를 편집하실 수 있습니다.
4. 쇼핑설정
결제기능을 설정하기 위해 솔루션 관리툴>대시보드> 쇼핑 > 쇼핑설정 메뉴로 이동해 주세요.
표시된 세가지 메뉴에서 필수 정보를 모두 입력하면 결제기능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쇼핑몰 상품은 갤러리/쇼핑 블럭을 이용하여 등록할 수 있습니다.
1. 블럭 우측 상단 설정 아이콘 클릭
2. 컨텐츠관리 버튼 클릭
3. +추가 버튼 클릭
5. 상품 정보를 입력 후 저장
* 해당 갤러리 썸네일이 게시되어 있다면, 저장 시 수정한 내용이 실시간으로 홈페이지 반영됩니다.
* 수정한 상품정보는 되돌리기 기능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 개럴리 유형이 쇼핑 유형으로 선태되어져 있어야 합니다.
블럭 설정에서 갤러리 타입 변경 가능합니다.
1. 블럭 우측 상단 설정 아이콘 클릭
2. 갤러리 타입을 쇼핑형으로 선택
상품 정보 수정 페이지로 이동하는 방법은 3가지가 있습니다.
1. 썸네일에 마우스를 오버했을 때 나타나는 EDIT 아이콘을 클릭하여 상품 편집으로 이동
2. 블럭 설정에서 컨텐츠관리에 접속하여 편집 버튼 클릭하여 상품 편집으로 이동
3. 상품 상세 페이지에서 상품 정보 오른쪽 상단 설정 아이콘을 클릭하여 상품 편집으로 이동
1. 갤러리 리스트에서 썸네일 클릭
1-2. 상품 편집창에서 상세페이지 편집의 편집 아이콘 클릭.
2. 상세 페이지에서 원하는 블럭들을 추가하여 상품 상세페이지를 꾸며줍니다.
* 기존 갤러리 블럭의 상세페이지 유형과 동일한 방식입니다.
* 상세페이지 유형에서 쇼핑 유형으로 변경한 경우, 상품 설정을 해주어야 기존 블럭들이 보여집니다.
상세페이지형에서 상품 유형으로 변경하게 되면 상품 정보가 설정되어 있지 않아 블럭들이 보이지 않습니다.
상품 정보를 설정하면 숨겨진 블럭들이 보여지고 상세페이지도 편집이 가능합니다.
1. 상품 편집 페이지로 이동
2. 옵션 우측의 이동 아이콘을 클릭
3. 원하는 위치로 드래그 하여 배치
1. 상품 편집
페이지로 이동 2. 옵션의 수정할 옵션명 또는 가격 영역을 클릭 3. 원하는 옵션명 또는 가격을 입력 |
1. 상품 편집 페이지로 이동
2. 삭제할 옵션 클릭
3. 가격정보 오른쪽 휴지통 아이콘 클릭
4. 삭제 안내 창에서 확인 클릭
* 옵션 삭제 시 되돌리기가 불가능하니 주의해주세요
5. 삭제 후 저장 클릭
관리자 페이지에서 쇼핑 메뉴를 통해 설정이 가능합니다
1. 솔루션 관리툴 > 쇼핑 > 설정 클릭
2. 쇼핑 환경 설정에서 법적 필수정보/결제/배송 각각의 정보를 입력 후 저장.
* 결제 및 배송 정보 등을 모두 설정해주셔야 결제 설정이 가능합니다.
결제 방법은 신용카드, 계좌이체, 무통장입금 총 3가지로 제공됩니다.
신용카드나 계좌이체의 경우 전자결제(PG) 설정을 통해 서비스 가입 후 부여된 KEY값을 입력해주서야 이용이 가능합니다.
1. 솔루션 관리툴 > 쇼핑 > 환경 설정 > 결제 클릭
2. 전자결제 서비스 신청하기 클릭
3. 서비스 기본사항과 가입절차 확인 후 KCP 전자 결제 서비스 신청 클릭
4. 사업자 정보 입력 후 작성완료 클릭
* 작성 완료 후 승인까지는 2~3주 정도 소요될 수 있습니다.
5. 승인 후 발급된 CD, KEY값을 전자결제(PG)설정 키값 입력 항목에 입력
6. 입력 정보 확인 후 변경사항 저장하기 클릭
PG사: KCP(NHN한국사이버결제)
가입비: 없음
연회비: 없음
신용카드: 3.4%(카드사 수수료 포함, VAT 별도)
계좌이체: 가입비 무료, 실시간 계좌이체 1.8% 외 추가 수수료 없음 (VAT 별도)
휴대폰결제: 별도 가입필요 (가입비 무료, 실물 4.0%, 컨텐츠 7%, VAT 별도)
정산주기: 일정산 7일 (승인후 7일 후 매일 정산 )
0단계 : 심사불가업종 확인
- 카드사별 심사불가 업종을 확인합니다. (확인하러 가기)
1단계 : 상점준비
- 홈페이지는 쇼핑몰로서 최소한의 디자인을 갖춰야 합니다.
- 홈페이지 생성 후, 상품을 3개 이상 등록합니다.
- 상품 상세 페이지에는 배송정보, 환불규정이 기재되어야 합니다.
1. 상품 상세 페이지의 빈 영역을 클릭해 블럭을 추가합니다. (텍스트 블럭을 추천합니다.)
2. 텍스트 블럭에 배송정보와 교환/환불규정을 적어 넣습니다.(하기 이미지 참고.)
- 법적 필수정보를 모두 입력합니다. [솔루션 관리툴 > 쇼핑 > 쇼핑설정 > 법적 필수정보]
ㅇ 사업자 등록번호 : 사업자 등록 과정을 거치면 사업자 등록번호를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국세청 사업자 등록 안내)
ㅇ 통신판매업 신고번호 : 사업장 관할 구청 또는 온라인(정부24)으로 통신판매 신청 시 온라인 상거래가 가능합니다.
4단계에서 확인하실 수 있기 때문에 지금 단계에서는 입력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ㅇ 통신판매사업자 상세조회 링크 주소 : 사업자에 대한 상세 정보를 볼 수 있는 링크입니다. 사업자 등록번호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링크가 생성됩니다.
ㅇ 대표전화 : 사업장에서 이용하시는 전화번호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개인 휴대전화 번호는 사용하실 수 없습니다.
ㅇ 법적 필수정보는 입력 후 저장하기 버튼을 클릭하면 홈페이지 푸터에 자동으로 입력됩니다.
- 결제 정보를 입력합니다. [관리자 페이지 > 쇼핑 > 쇼핑설정 > 결제]
ㅇ 사용할 결제 수단 : 상품 판매시 사용할 결제수단을 선택합니다.
ㅇ 과세 유형 : PG사에 신청한 과세 유형으로 선택합니다.
ㅇ 전자결제(PG) 설정 : 전자결제(PG) 서비스 신청하는 방법은 2단계를 참조합니다.
ㅇ 무통장 입금 설정 : 무통장 입금을 이용시, 구매자에게 안내할 계좌 정보를 입력합니다.
ㅇ 비회원 구매 : 비회원으로 구매 가능여부를 선택합니다.(PG사 승인을 받기 위해 [사용]으로 체크합니다.)
- 배송 정보를 입력합니다. [솔루션 관리툴 > 쇼핑 > 쇼핑설정 > 배송]
ㅇ 택배회사 : 상품 운송을 담당할 택배 업체를 선택합니다.
ㅇ 배송비 : 기본 배송비를 입력합니다.
ㅇ 도서산간지역 추가 배송비 : 도서산간지역 배송 시 추가될 배송비를 입력합니다.
ㅇ 배송비 무료조건 : 배송비 무료조건 설정 사용여부 및 최소 구매 금액을 입력합니다.
- 이용약관,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입력합니다. [솔루션 관리툴 > 상세설정 > 부가기능 > 회원가입]
2단계 : PG 이용 신청
- PG 신청시 필요한 서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 솔루션 관리툴 > 쇼핑 > 쇼핑설정 > 결제 메뉴에서 전자결제 서비스 신청하기 버튼을 통해 온라인 신청서를 제출합니다.
KCP 전자결제 서비스 신청 버튼을 눌러 온라인 신청서를 작성합니다.
- 판매 상품이 비과세 또는 복합과세(과세 + 비과세)인 경우 별도로 기타사항에 명시해 주셔야 합니다.
- 신청이 완료되면 2~3 영업일 중 PG 담당자가 연락드립니다.
(접수 이후의 진행 상황은 KCP 고객센터로 문의하시면 정확한 답변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3단계 : 심사
- 심사는 통상 2~3주가 소요됩니다. (카드사 심사 중엔 결제해도 과금되지 않습니다.)
- 심사가 완료되면 상점 ID 및 키 값을 메일로 전달받습니다.
- 해당 키 값을 솔루션 관리툴 > 쇼핑 > 쇼핑설정 > 결제 메뉴에서 키 값 설정란에 입력합니다.
1. 심사 완료 후 전달받은 안내 메일의 SITE CODE와 SITE KEY를 확인합니다.
2. 쇼핑 > 설정 > 결제 메뉴로 이동하여, 키 값 입력란에 SITE CODE,SITE KEY로 구분지어 삽입합니다.
3. 저장 버튼을 눌러 저장합니다.
4단계 : 통신판매업 신고
통신판매업 신고시 필요한 정보를 확인합니다.
신고 방법은 온라인 신고, 지역 공공기관에 방문 신고 두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o 온라인 신고 절차
1. 정부24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로그인 합니다.(바로가기)
2. 신청하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3. 필요한 정보들을 모두 작성 후 민원신청하기 버튼을 눌러 신청합니다.
* [신고증 수령기관]은 추후에 신고증 수령을 위해 방문해야 할 공공기관을 의미합니다.
o 지역 공공기관에 방문 신고
1. 신고 관련 서류를 지참하여 구청에 직접 방문합니다.
온라인 등록 또는 직접 방문 중 한가지 방법으로 신청 후, 4~5일 후 신고증 수령기관에 방문하여 면허세 40,500원을
납부하시면 통신판매업 신고증을 수령하실 수 있습니다.
1단계 : 네이버 개발자 센터 등록
1. 네이버 개발자 센터에 접속. https://developers.naver.com/
2. 우측 상단의 로그인 버튼을 눌러 네이버 계정으로 로그인.
2단계 : 네이버 아이디로 로그인 API 신청
1. 상단 메뉴에서 Products > API 소개 > 네이버 아이디로 로그인 탭을 클릭.
2. 하단의 오픈 API 이용 신청 버튼을 클릭.
3단계 : 네이버 아이디로 로그인 API 정보입력
1. 사이트 이름을 입력.
2. 네아로(네이버 아이디로 로그인)을 선택.
3. 회원이름, 이메일, 별명, 프로필 사진, 성별 중 사이트에 필요한 요소들을 필수 항목으로 체크.
(생일, 연력대는 지원하지 않습니다.)
4. 로그인 오픈 API 서비스 환경은 PC웹을 선택.
5. PC 웹의 서비스 URL에는 사이트의 대표 도메인(예시 : https://etc.creatorlink.net)을 입력.
6. 네이버 아이디로 로그인 Callblack URL에는(예시 : https://etc.creatorlink.net/oauth)을 입력.
7. 등록하기 버튼 클릭.
4단계 : Client ID 및 Client Secret 입력
1. Client ID 항목을 복사하여 크리에이터링크 설정창에 입력.
2. Client Secret 항목을 복사하여 크리에이터링크 설정창에 입력.
5단계 : 로고 이미지 등록, 개발상태 변경
1. 내 애플리케이션에서 API 설정 탭 클릭.
2. 로그인 오픈 API 서비스 환경에서 로고 이미지를 등록(필수).
3. 페이지 하단의 확인버튼을 눌러 반영.
4. 중요: 애플리케이션 개발 상태에서 네아로 검수 요청을 클릭.
6단계 : 검수 요청하기
1. 개발가이드 필수 항목 확인 및 검수 요청 가이드 확인에 체크.
2. 네이버 아이디로 로그인을 통한 신규 회원 가입 적용에 체크.
3. 회원가입시 네아로에서 제공하지 않으면서 입력받는 항목이 하나라도 있으면 모두 입력.
4. 첨부파일 항목은 네이버 로그인이 적용된 실제 사이트 화면을 직접 캡쳐하여 첨부파일 업로드.
5. 검수는 며칠이 소요될 수 있으며 검수가 완료되면 제한 없이 이용이 가능.
1단계 : 카카오 개발자 센터 등록
1. 카카오 개발자 센터에 접속. https://developers.kakao.com/
2. 우측 상단의 로그인 버튼을 눌러 카카오 계정으로 로그인.
2단계 : 앱 만들기
1. 앱 만들기 클릭
2. 이름과 회사명 입력 후 앱 만들기 버튼 클릭.
3단계 : 앱 설정하기
1. 사용자 관리 클릭
2. 사용자 관리 활성화 버튼 클릭.
3. 프로필 정보 수집 목적란에 "소셜로그인에 사용" 입력.
4. 카카오계정(이메일)란의 수집조건을 '연결시 선택'으로 설정.
5. 카카오계정(이메일)란의 수집목적을 '중요정보 전달 및 로그인 계정용으로 사용'으로 설정.
6. 하단의 저장버튼 클릭.
4단계 : 플랫폼 설정하기
1. 좌측의 '일반' 클릭.
2. 중앙 우측의 '플랫폼 추가' 버튼 클릭.
3. '웹' 클릭.
4. 내 사이트의 도메인을 입력. 사용하는 도메인이 여러개면 모두 입력.
5. 추가 버튼을 클릭.
5단계 : 내 사이트에 적용하기
1. 네이티브 앱 키 값을 복사하여 크리에이터링크 설정창에 입력.
2. REST API 키 값을 복사하여 크리에이터링크 설정창에 입력.
1단계 : 구글 API 콘솔 등록
1. 구글 API 콘솔에 접속. https://console.developers.google.com
2. 구글 계정으로 로그인.
2단계 : OAuth 클라이언트 ID 만들기
1. 우측의 프로젝트 만들기 버튼을 클릭.
2. 프로젝트 이름을 적고 만들기 버튼 클릭.
3. 사용자 인증 정보를 클릭.
4. OAuth 동의화면 탭을 클릭.
5. 앱 이름과 로고 이미지를 입력.
6. 승인된 도메인: 이용중인 도메인을 입력.
(단, 2차 도메인 설정시에는 1차 도메인을 입력. 예) 123.abc.com -> abc.com을 입력)
7. 애플리케이션 홈페이지 링크 : 이용중인 도메인을 입력합니다.
(2차 도메인의 겨우 2차 도메인 전체를 입력.)
8. 애플리케이션 개인정보처리방침 링크: 내 사이트 주소/siteinfo/privacy
9.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약관 링크: 내 사이트 주소/siteinfo/terms
10. 저장 버튼 클릭
11. 사용자인증정보 만들기 버튼을 클릭 후 OAuth 클라이언트 ID를 선택.
12. 웹 어플리케이션 선택.
13. 승인된 리디렉션 URI : 도메인 주소 입력 후 등록
* creatorlink 주소인 경우 http와 https 모두 등록, 연결된 도메인은 https만 등록
예: http://sample.creatorlink.net,
https://sample.creatorlink.net,
https://sample.com
14. 승인된 자바스크립트 원본 : 도메인 주소 뒤에 /oauth를 추가후 등록
* creatorlink 주소인 경우 http와 https 모두 등록, 연결된 도메인은 https만 등록
예: http://sample.creatorlink.net/oauth,
https://sample.creatorlink.net/oauth,
https://sample.com/oauth
15. 생성 버튼을 클릭.
16. 클라이언트 ID와 클라이언트 보안 비밀 항목을 복사하여 크리에이터링크 설정창에 입력.